이석현 | Seokhyun Lee
1998.07.10
—
연락처: 010-6775-9928
이메일: kids1412@naver.com
블로그: blog.naver.com/kids1412
(現) Smilegate Entertainment 시스템 기획
톺아보고ㅡ솎아 내는 게임기획자 이석현입니다.
톺아보다: 샅샅이 더듬어 뒤지면서 찾아보다.
솎아내다: 여러가지 중 군데군데 뽑아내어 부드럽게 만들다.
다채로운 목소리를 듣고, 읽고, 쓰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애정이 가는 콘텐츠를 분석해보고, 애정을 들여 재밌는 걸 만듭니다.
마음에 이끌리는 대로 살다 보니 이것저것 얕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게임 서사와 디자인을 중심으로 공부하고 있으며,
보다 많은 사람들이 게임 플레이를 통해 즐거움을 찾길 바랍니다.
저는 이런 시선으로 게임을 바라봅니다:
1.
게임이 성공하는 절대 공식은 없습니다. 모든 게임은 맥락적입니다.
2.
작게 실험하고, 차근차근 살을 붙입니다.
3.
완벽한 밸런스보다 접근성이 높은 디자인을 선호합니다.
4.
아이디어는 직감을 믿지만, 디자인은 이유를 생각합니다.
INDEX
저는 이런 사람입니다:
1.
(이것저것) 해보았습니다.
2.
(이것저것) 할 수 있습니다.
3.
(이것저것) 공부 합니다.
4.
(이것저것) 플레이 합니다.
이석현 Mini-Portfolio.pdf
12897.8KB

PROJECTS
Unity 게임 제작 프로젝트
Unity로 제작한 게임입니다. 기획 의도와 기획 구현 방식에 초점을 두어 기술했습니다.
게임제작
Search

2022년 8월 1차 MVP
텀블벅 배포 데모
HYNPYTOL은 백혈구가 되어 훅샷을 통해 이동하는 소코반 퍼즐 게임으로 레벨 내의 감염 세포를 모두 제거하는 게 목표인 게임입니다. 데모에 대한 1차 QA는 완료된 상태이며, 현재는 해당 데모를 발전시키고 있는 중입니다.
기획 의도
기획 구현
완성 후 QA
활동 자료

HYNPYTOL (정식 출시)
2022.08.01~
기획
팀
게임 관련 프로젝트
게임 제작은 아니지만, 게임과 연관 있는 프로젝트를 모아두었습니다.
게임관련
Search
기타 프로젝트
게임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지만, 저를 말미암은 프로젝트들을 모아두었습니다.
기타자료
Search

Frame Per Story는 검색 엔진을 바탕으로 게임을 큐레이션 해주고, 게임 디자인에 대해 전문적으로 토론할 수 있는 가상의 커뮤니티 웹사이트입니다. 웹사이트 기획 과정에서 Excel로 메뉴 정의서/기능 정의서를 작성했고, Figma/Illustrator/Photoshop을 활용하여 웹사이트 프로토타입을 제작했습니다.
Frame Per Story 디자인에서 초점을 둔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24처럼 정제되어 있지만, 볼드한 이미지를 중심으로 게임을 소개합니다.
(2) Annapurna Interactive처럼 독창적이고, 신선한 게임 포트폴리오를 큐레이팅합니다.
(3) 톤 다운 컬러 스킴과 산세리프-세리프 혼용으로 고급스럽지만, 세련된 느낌을 더합니다.
활동 자료

[웹 기획/제작] Frames Per Second
2020.9~2020.12
기획
아트
제작
분석
개인

포스트모더니즘 사학으로 저명한 임지현 교수의 신간 ‘희생자의식 민족주의’에 연구 조사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필리핀 위안부 동성애자 마르코바를 다룬 영화 ‘Markova: A Comfort Gay’를 보고, 필리핀 현지 위안부과 마르코바 사이의 갈등을 짚었습니다. 한국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위안부 갈등사례였고, 영화 또한 한국 자막이 없었기 때문에 필리핀 OTT 사이트에서 직접 감상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위안부의 구체적인 피해사례가 국가 헤게모니에 의해 “순수한, 순결한, 처녀”로 프레이밍 되고, 이에 부합하는 위안부 피해자가 국가로부터 배상을 받기 쉬웠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이를 통해 다른 국가에서는 위안부의 기억 정치가 어떻게 구성되는 지 톺아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1988년도에 있던 서울하계패럴림픽을 두고 정치권과 장애인 운동권이 어떻게 메세지를 만들어나갔고, 패럴림픽 관련 자료에서 국가권력이 장애인을 어떤 시선으로 보았는 지 조사했습니다. 서울하계패럴림픽에 대한 기록도 별로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에, 국립중앙도서관과 당대 신문/팜플렛을 공수하여 분석 글을 작성했습니다.

‘희생자의식 민주주의’에는 ‘마르코바’에 대한 조사 내용만 인용되었지만, 이번 경험을 통해:
(1) 경외시/소외되는 주제를 발굴할 수 있었습니다.
(2) 당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증언/문화를 기반으로 풀뿌리 역사를 재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3) 영상자료 조사를 통해, 게임매체에서 역사적 사건을 접근하는 방식을 알 수 있었습니다.
(4) 게임매체에서는 역사가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 지 궁금해졌습니다.
[분석] ‘희생자의식 민족주의’ 참여
2021.03~2021.08
분석
개인

SKILLS
게임 제작에 얽힌 다양한 분야를 이해하려고 합니다.
게임 기획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의 작업들도 두루 아우를 수 있습니다.
문서 작성

Microsoft Word

Microsoft Excel

Microsoft PowerPoint
협업

Notion

Slack
UI/UX 디자인

Figma
그래픽 디자인

Adobe XD

Adobe Photoshop

Adobe illustration

Aseprite
영상 편집

Adobe Premiere

Adobe After Effects
게임 엔진

Unity

STUDIES
게임과 관련된 영문 자료들을 우리말로 옮깁니다.
언론 기사, 강연, 에세이, 현업 종사자 인터뷰 등 다양한 목소리를 번역하고 있습니다.
*25.03.09 기준 총 145편으로 하단의 Load More를 누르면 더 많은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모음집
Search
제목
주제
링크
번역 일자
Load more
COUNT145

GAME LIST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플레이 합니다.
*2025.05.19 기준 총 348개로 하단의 Load More을 누르면 더 많은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LIST
Search
게임 제목
장르
플레이 시간
Load more
COUNT348
정리 중인 페이지